본문 바로가기
핫 이슈 평론/환경 이슈 & 기후 에너지

미국서 올여름 1000조 마리 매미떼 예상! “제트기 같은 굉음에 고통”

by 변교수 2024. 4. 21.
반응형

Brood Overload: 1000조 매미떼, 미국 중부와 동부에서 집단 출현

 

매미-겟돈, 미국에서 221년 만에 17년과 13년 주기 매미 동시 출현

매미-겟돈, 소음 문제와 기후 변화 우려

천문학적 수의 매미떼, 미국을 덮친다

귀에 울리는 매미 소리, 역사상 최대 규모의 매미떼 출현

 

Introduction:

미국에서 올여름 최대 1000조 마리에 달하는 매미떼가 발생할 것이라는 학계의 예측이 나왔다.

20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최근 미국 곤충학자들 사이에선 ‘주기성 매미’ 2개 부류가 이달말쯤부터 동시에 지상으로 올라와 활동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들 매미는 각각 13년 주기와 17년 주기로 활동하는 무리로, 미국에서 이 두 부류가 동시에 출현하는 것은 1803년 이후 처음인 것으로 전해졌다.

올여름 활동하는 2개 부류에 포함된 매미는 총 7종이다. 이들은 매년 여름 흔히 보이는 매미들과 달리 붉은 눈을 지니고 있으며, 개체 수 측면에서 압도적인 규모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코네티컷대 곤충학자 존 쿨리는 이들의 개체 수가 수백조 혹은 1000조 마리에 달할 수 있다며, 이번에 나타날 현상을 성경의 ‘아마겟돈’에 비유해 ‘매미-겟돈’이라 부르기도 했다.

이번에 나타날 매미들이 주로 서식하는 지역은 미 일리노이주를 비롯해 위스콘신주에서 루이지애나주, 워싱턴DC 옆 메릴랜드주에서 조지아주 사이에 이르는 중부와 동남부 지역이다. 전체 16개주에 걸쳐 에이커(약 4047㎡)당 평균 약 1백만 마리가 뒤덮을 것으로 예상된다.

매미들은 인체나 농작물에 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큰 울음소리 탓에 소음 문제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많다. 쿨리는 매미 떼가 내는 소리가 “110데시벨에 달한다”며 “마치 제트기 옆에 머리를 대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2007년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음악축제인 라비니아 페스티벌은 17년 주기 매미 출현으로 인한 소음을 우려해 일정을 연기하기도 했다.

다만 학계는 221년만에 발생하는 희귀한 자연 현상에서 여러 연구자료를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생 균류인 ‘매소스포라(Massospora)’의 작용이 대표적이다. 이 균류에 매미의 수컷이 감염되면 복부와 생식기가 곰팡이 조직으로 뒤덮이는데, 이 때 매미는 암컷인 척하며 다른 수컷을 불러 짝짓기를 시도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는 감염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한 곰팡이의 전략으로 추정돼 왔다.

학계 일각에선 기후 변화가 매미들의 생태에 미치는 영향에도 주목하고 있다. 매미들은 그간 땅의 온도가 섭씨 17.8도까지 따뜻해지면 지상으로 올라왔는데, 기후변화로 인해 이 시기가 부정확해지고 있다고 곤충학자들은 지적했다. 기후 변화는 매미들의 분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The Main Discourse:

Story Cut 1: 매미-겟돈의 배경

미국의 곤충학자들은 올해 여름 두 개의 주기성 매미 부류가 지상으로 동시에 출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13년과 17년 주기 매미들이 함께 등장하는 것은 1803년 이후 처음이며, 전체 7종의 매미가 미국 중부와 동남부 지역을 주 무대로 활동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들의 개체 수는 수백조에서 1000조 마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평균적으로 에이커당 약 1백만 마리가 분포할 것으로 보입니다.

 

Story Cut 2: 예상되는 소음 문제와 영향

매미들은 인체나 농작물에 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들의 엄청난 울음소리는 심각한 소음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곤충학자 존 쿨리는 매미 떼가 내는 소리가 110데시벨에 달할 것이라고 설명하며, 이는 제트기 옆에 있는 것과 유사한 수준입니다. 이런 소음 문제로 인해 과거 시카고의 음악축제 일정이 연기된 사례도 있습니다.

 

Story Cut 3: 기후 변화와 매미 생태학

한편, 학계에서는 이번 현상이 기후 변화와 매미 생태의 상관관계를 연구할 수 있는 기회라고 보고 있습니다. 매미들은 일반적으로 땅의 온도가 섭씨 17.8도에 이르면 지상으로 올라오는데, 기후 변화로 이 시기가 부정확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후 변화가 매미들의 분포와 활동 주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녹색이 17년 주기 매미, 분홍색이 13년 주기 매미의 서식 지역. 코네티컷 대학

 

 

Critical Analysis by Professor Bion

소음 주의: 미국 역사상 최대 매미떼 출현

매미 1000조 마리, 기후 변화와 생태계 영향

미국 매미-겟돈: 221년 만에 두 주기 동시 출현

매미들의 귀환: 미국 중부와 동부 지역에서 대규모 출현 예고

매미 소리와 기후 변화: 새로운 자연 현상에 대한 우려

 

 

 

TocTalk Essay: 매미-겟돈: 자연 현상의 이면

매미-겟돈으로 알려진 이번 자연 현상은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매미 출현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 현상은 일차적으로 매미들이 끊임없이 울어대는 소음 문제를 제기하지만, 보다 깊은 문제는 이들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기후 변화의 징후를 보여준다는 점입니다.

 

매미들은 일반적으로 자연의 일부로서 식물에 해를 주지 않고, 소음 외에는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대규모 출현은 분명 지역 사회와 환경에 충격을 줄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음향 수준이 급격히 상승하면 인간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동물들도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연 현상은 또한 기후 변화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는 생태학적 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줍니다. 매미들은 주로 지하에서 생활하다가 일정한 주기 후에 지상으로 올라오는데, 이 주기가 기후 변화로 인해 불확실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생태계의 다른 구성원들에게도 영향을 미치며, 우리가 기후 변화의 결과로 직면하게 될 예측 불가능한 현상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매미-겟돈은 매미들의 거대한 울음소리를 넘어, 우리가 자연과 기후 변화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시켜줍니다. 학계와 정부, 일반 대중 모두가 이번 현상을 기회로 삼아, 기후 변화와 생태계 변화에 대한 논의를 촉발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