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 이슈 평론/정책 이슈 & 복지 교육

부산, 광역시 최초 '소멸위험' - 2030 여성 11.3% 불과

by 변교수 2024. 6. 30.
반응형

2030 여성 11.3% 불과 - 부산, 소멸위험단계 돌입

부산, 소멸위험단계 진입 - 6대 광역시 중 최초
부산, 청년 여성 인구 급감으로 소멸위험 - 저출생 대책 실패
부산, 인구 감소로 소멸위험 - 지방소멸 대책 성과 부족
소멸위험단계 진입한 부산 - 저출생·인구감소 문제 심각


An Introduction
부산광역시가 전국 6대 광역시 중 최초로 소멸위험단계에 진입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2024년 3월 기준 소멸위험지역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부산의 인구 감소와 저출생 문제를 조명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부산을 포함한 여러 광역시의 인구 구조 변화를 통해 지방 소멸의 위기를 경고하고 있습니다.



The Main Discourse
Story Cut 1. 부산의 소멸위험단계 진입
부산광역시는 전국 6대 광역시 중 최초로 소멸위험단계에 진입했습니다. 소멸위험지수가 0.490으로, 이는 2039세 여성 인구수가 65세 이상 인구수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현재 부산의 인구는 329만 명이며, 65세 이상 인구는 23%를 차지하지만 2039세 여성 인구는 11.3%에 불과합니다.

Story Cut 2. 전국 소멸위험지역 현황
전국적으로 소멸위험지역은 17개 광역시도 중 7개에 이르며, 특히 전남(0.329), 경북(0.346), 강원(0.388), 전북(0.394) 등이 높은 소멸위험을 보였습니다. 전남의 경우 전체 인구가 10년 전보다 5.1% 감소했으며, 고령 인구 비중은 전국 최고 수준인 26.4%에 달합니다.

Story Cut 3. 시군구별 소멸위험지역 증가
전체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은 57.0%인 130곳에 이릅니다. 20~30대 여성 인구가 65세 이상 인구의 1/5에도 못 미치는 고위험지역은 57곳으로, 신규로 소멸위험지역에 진입한 곳은 부산 북구·사상구·해운대구·동래구 등 8곳의 광역시 구군이 포함됩니다. 특히 부산 영도구는 소멸위험지수값이 0.256으로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Critical Analysis by Professor Bion
TocTalk Essay: 부산의 소멸위험단계 진입과 그 의의
● 부산광역시가 6대 광역시 중 최초로 소멸위험단계에 진입하였으며, 이는 인구 감소와 저출생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줍니다.
● 한국고용정보원의 연구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7개의 광역시도가 소멸위험단계에 있으며, 전남, 경북, 강원, 전북 등이 높은 소멸위험을 보입니다.
● 전체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은 57.0%에 이르며, 부산 북구, 사상구, 해운대구 등 여러 광역시 구군이 소멸위험지역에 새로 진입했습니다.
● 부산의 소멸위험은 기존 재개발과 산업재생 전략의 한계를 보여주며, 포괄적이고 다층적인 융복합 전략이 필요합니다.
● 소멸위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정부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이 필요하며, 다양한 인재들이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수적입니다.

부산의 소멸위험단계 진입은 지역사회와 정부에 큰 경종을 울리는 사건입니다. 인구 감소와 저출생 문제는 단순히 숫자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부산의 경우, 20~39세 여성 인구 비율이 급감하면서 지역 소멸위험지수가 급격히 상승하였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저출생 대책과 지방소멸 대책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부산의 경우 신도심인 해운대구에서도 소멸위험이 확대되고 있는 현실은 기존의 재개발과 산업재생 전략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인구를 늘리기 위한 정책이 아닌, 지역에서 다양한 인재들이 자신의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초광역권역과 공동체 수준에서 산업, 교육, 주거, 복지, 문화가 일자리와 연계된 융복합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개별 영역에서의 성공사례를 다른 지역으로 확산시키는 연쇄반응을 통해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부산의 사례는 단순히 하나의 도시 문제로 국한되지 않으며, 전국적으로 유사한 문제를 겪고 있는 다른 지역에도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인구 감소와 소멸위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포괄적이고 다층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