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 이슈 평론/문화 축제 & 영화 드라마

감히 중국 음식를 훔쳐? 넷플릭스 '흑백요리사' – 중국 누리꾼들 도둑시청, 황당하네

by 변교수 2024. 10. 7.
반응형

'바쓰' 논란? 중국, 한국 요리 프로그램 향한 비난

"한국이 중국 음식을 훔쳤다?" 중국 불법시청 논란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 세계적 인기 속 중국 비난

'바쓰' 논쟁 촉발, 한국과 중국의 문화 전쟁?

중국 누리꾼, '바쓰'와 백종원 겨냥한 공격적 발언 논란

'흑백요리사' 글로벌 흥행, 중국의 문화 도용 주장 황당

 

An Introduction

최근 넷플릭스 예능 프로그램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이 글로벌 흥행을 이어가면서, 중국의 일부 누리꾼들 사이에서 "한국이 중국 음식을 훔쳐가려 한다"는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프로그램 내에서 정지선 셰프가 중국 음식 '바쓰'를 응용한 요리를 선보인 것이 이 논란의 발단이 되었다. 중국에서는 넷플릭스가 서비스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불법 시청이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누리꾼들의 조롱과 가짜뉴스가 확산되고 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요리 논쟁을 넘어, 한국과 중국 간의 문화적 긴장감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키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The Main Discourse

Story Cut 1. '흑백요리사'의 세계적 인기와 3화 논란

넷플릭스 예능 프로그램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은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28개국 TOP 10에 오르며, 한국, 대만, 싱가포르 등 4개국에서는 1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3화에서 정지선 셰프가 '바쓰'를 응용한 요리를 선보인 이후 중국 누리꾼들의 비난이 쏟아졌다. 이들은 한국이 중국 음식을 훔쳐가려 한다는 주장과 함께 조롱을 퍼부었다.

 

Story Cut 2. '바쓰'란 무엇인가?

'바쓰'는 중국어로 '실을 뽑다'라는 뜻을 지닌 전통적인 중국 요리 기법이다. 설탕, , 꿀을 가열해 실처럼 얇게 뽑아낸 후 식히는 방식으로, 정지선 셰프는 이 기법을 응용해 '시래기 바쓰 흑초 강정'이라는 요리를 선보였다. 프로그램에서 바쓰는 명확히 중국 음식으로 소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는 이를 한국이 도용하려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Story Cut 3. 중국 누리꾼들의 조롱과 불법 시청 문제

중국에서는 넷플릭스가 공식적으로 서비스되지 않지만, 일부 누리꾼들은 불법 시청을 통해 프로그램을 접했다. 이후 중국판 틱톡인 더우인 등 SNS에서 "한국이 바쓰를 훔치려 한다"는 조롱과 비난이 확산되었다. 심지어는 한국이 이를 한식으로 주장할 것이라는 억측도 나왔다. 백종원 심사위원에 대한 비난도 이어지며, 그가 과거에 중국 요리를 소개한 방송을 악의적으로 편집해 공격하는 등 가짜뉴스가 퍼지고 있다.

 

Story Cut 4. 중국의 문화 도용 주장과 기존 논란들

이번 논란은 중국이 한국의 문화유산을 자신들의 것으로 주장해온 기존의 사례들과 연결된다. 중국은 돌솥비빔밥, 김치, 윷놀이 등을 중국의 무형 문화유산으로 지정하며 일방적인 주장을 펼쳐왔다. 이번 '흑백요리사' 논란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한국과 중국 사이의 문화적 갈등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키는 사건이 되었다.

 

Critical Analysis by Professor Bion

TocTalk Essay. 문화 도용 논란과 국가 간 문화적 경계의 모호성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가 글로벌 흥행을 이어가고 있으며, 중국 누리꾼들은 이를 두고 한국이 중국 음식을 훔쳐가려 한다는 비난을 퍼붓고 있다.

정지선 셰프가 중국 요리 '바쓰'를 응용한 요리를 선보인 것이 이번 논란의 발단이 되었다.

중국에서는 넷플릭스가 서비스되지 않음에도 불법 시청이 이루어지며, 가짜뉴스가 확산되고 있다.

중국은 과거에도 한국의 문화를 자신들의 것으로 주장한 전례가 있으며, 이번 '바쓰' 논란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문화적 경계와 소유권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각국의 전통이 다른 국가에서 재해석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흑백요리사' 프로그램에서 벌어진 중국과 한국 간의 논쟁은 단순한 요리 문제를 넘어, 국가 간 문화적 경계와 소유권 문제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중국 누리꾼들이 한국이 자신들의 문화를 도용하려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이 논란은 문화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지, 그리고 그 경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첫째, 문화는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 공유되고 발전해왔다. 한 나라의 전통이 다른 나라로 전해져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되는 과정은 인류 역사에서 흔한 일이다. '바쓰'라는 중국의 전통적인 조리법이 한국 셰프에 의해 새로운 요리로 탄생하는 것은 문화적 교류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둘째, 중국은 과거에도 한국의 전통 문화를 자신들의 것으로 주장해온 전례가 있다. 김치, 돌솥비빔밥 등의 음식은 물론, 한국의 놀이문화까지 무형 문화유산으로 등록하며 논란을 일으켜왔다. 이러한 행위는 문화적 경계를 정치적 또는 경제적으로 이용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으며, 이번 '바쓰' 논란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중국의 이러한 문화 도용 주장은 국제적으로 비난을 받을 소지가 있다. 특히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플랫폼에서 프로그램이 방영된 이후, 중국이 불법으로 이를 시청하면서도 그 내용을 왜곡해 가짜뉴스를 퍼트리는 행위는 국제 사회에서 신뢰를 잃을 가능성이 크다.

 

넷째, 이번 사건은 문화적 상호작용이 점점 더 빈번해지는 글로벌 사회에서 각 국가가 문화의 경계를 어떻게 정의하고 관리할지에 대한 중요한 문제를 제기한다. 특정 국가의 전통이 다른 국가에서 재해석되는 것을 무조건적인 도용으로 볼 수는 없다. 이는 창의적 표현과 문화적 발전의 과정일 수 있으며, 그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마지막으로, 이번 논란을 통해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것은 문화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는 존재라는 점이다. 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며, 다른 국가의 문화를 존중하는 동시에 그 발전 과정을 지켜보는 것이 글로벌 사회에서 중요한 덕목이 되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