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머니메이크/금융 & 주식

미중갈등 관련 주 대장주 TOP10 – 미중 무역전쟁 속 뜨는 희토류 관련주

by 변교수 2025. 2. 6.
반응형

유니온·삼화전자·티플랙스, 희토류 대체주로 주목받는 이유

POSCO홀딩스, 희토류 대체재로 전기차 시장 공략

2024년 투자 전략, 미중 갈등 속 희토류·전기차 관련주 분석

전기차·반도체·방산까지! 희토류 공급망 변화가 불러올 주식시장 기회

니켈·페라이트 마그넷, 희토류를 대체할 수 있을까?

성신양회·대원화성, 전기차·건설업 수혜주로 부각

▲ 2019년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AFP)

 

An Introduction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서 희토류와 전기차 소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희토류는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방산 장비 등에 필수적인 원료로, 중국이 세계 공급량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공급망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희토류 대체재나 자체적인 생산 능력을 확보한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 글에서는 유니온, 삼화전자, 티플랙스, POSCO홀딩스, 대원화성 등 희토류 및 대체 소재 관련 기업들의 현황과 투자 포인트를 상세히 분석한다. 미중 갈등이 심화되는 2025, 어떤 기업이 새로운 기회를 잡을 것인가?

 

The Main Discourse

1. 유니온 (미중갈등 대장주)

🔹 기업 개요

1952126일 설립, 199673일 증권시장 상장

국내 유일 백시멘트 생산 (1964년 시작)

알루미나시멘트 및 특수 시멘트 생산

환경오염 방지 설비 및 터널 시공용 급결제 제조

🔹 최근 실적 (20241분기)

매출액: 546억 원 (+3.8%)

영업이익: -34.4억 원 (적자 지속)

당기순이익: -96.7억 원 (적자 전환)

최근 3년 중 최저 영업이익 기록

🔹 투자 포인트

희토류 자석을 대체하는 고성능 페라이트 마그넷 사업

자회사 유니온머티리얼 보유 (미중갈등 수혜 가능성)

미중갈등 이슈 시 가장 빠르게 반응하는 종목


2. 유니온머티리얼 (미중갈등 관련주)

🔹 기업 개요

2000630일 설립, 2009929일 증권시장 상장

페라이트 마그넷, 절삭공구, 산업용 세라믹 부품 제조

주요 고객사: Bosch, 삼성, LG전자 등

베트남 자회사 통해 페라이트 생산

🔹 최근 실적 (20241분기)

매출액: 282억 원 (+2.4%)

영업이익: -48.8억 원 (적자 지속)

당기순이익: -43.2억 원 (적자 지속)

최근 3년 중 최저 영업이익 기록

🔹 투자 포인트

희토류(Nd) 대체품인 고성능 페라이트 마그넷 생산

전력반도체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 확대

유니온과 함께 미중갈등 관련주로 주목


3. 삼화전자 (미중갈등 수혜주)

🔹 기업 개요

197641일 설립, 1987525일 증권시장 상장

페라이트 코어 및 MPC코어 제조

친환경 자동차, 5G 통신장비, 반도체 장비 시장 확대 중

🔹 최근 실적 (20241분기)

매출액: 87.7억 원 (-15%)

영업이익: -20.6억 원 (적자 지속)

당기순이익: -23억 원 (적자 지속)

최근 3년 중 최저 영업이익 기록

🔹 투자 포인트

페라이트 코어를 현대모비스, 콘티넨탈, 덴소 등에 공급

현대차에 독점 공급

미중갈등과 희토류 이슈로 상승 가능성


4. 삼화전기 (미중갈등 테마주)

🔹 기업 개요

1973101일 설립, 19861124일 증권시장 상장

주요 사업: 콘덴서 제조 및 판매

종속회사: 삼화텍콤 (트랜스포머, 파워인덕터 생산)

🔹 최근 실적 (2023년 기준)

매출액: -15.3% 감소

영업이익: -42.6% 감소

당기순이익: -47.8% 감소

🔹 투자 포인트

삼화전자 관계사로 페라이트 코어 생산

희토류 이슈와 연계되어 미중갈등 테마주로 포함


5. 동국알앤에스 (미중갈등 희토류 관련주)

🔹 기업 개요

200411일 설립, 2004213일 증권시장 상장

제강용 내화물 및 스틸 제품 제조

내화물 부문에서 국내외 대형 제철소와 거래

🔹 투자 포인트

희토류 관련 내화물 기술력 보유

미중 무역전쟁 심화 시 주목받을 가능성


6. 티플랙스 (니켈·희토류 관련주)

🔹 기업 개요

199077일 설립, 2007126일 증권시장 상장

스테인리스·니켈합금·티타늄 소재 제조 및 가공

반도체, 원자력, 방산, 조선업 등에 납품

🔹 최근 실적 (20241분기)

매출액: 445억 원 (-4.6%)

영업이익: 37.8억 원 (+21%)

당기순이익: 28.3억 원 (+18.5%)

🔹 투자 포인트

니켈, 희토류 대체 합금소재 제조

미중갈등으로 희토류 수급 불안정 시 반사이익 가능

국내 유일 니켈합금 선재 제조사로 희소성 보유


7. EG (희토류 대체재 관련주)

🔹 기업 개요

199461일 설립, 2002130일 증권시장 상장

페라이트 원료 및 희토류 대체재 생산

환경소재(촉매) 2차전지 양극재 원료 제조

🔹 최근 실적 (20241분기)

매출액: 729억 원 (+12.3%)

영업이익: 58억 원 (+31%)

당기순이익: 43억 원 (+27.5%)

🔹 투자 포인트

페라이트 원료(Fe)로 희토류(Nd) 대체 가능

현대차, LG전자 등에 소재 공급

미중 무역갈등 심화 시 관심받는 종목


8. 성신양회 (백시멘트 관련주)

🔹 기업 개요

1967116일 설립, 1976824일 증권시장 상장

백시멘트 및 건설자재 생산

국내 시멘트 업계 1, 레미콘·아스콘·골재 사업 운영

🔹 최근 실적 (20241분기)

매출액: 11,452억 원 (+8%)

영업이익: 710억 원 (+35%)

당기순이익: 480억 원 (+27%)

🔹 투자 포인트

백시멘트 관련 테마로 유니온과 함께 움직이는 종목

미중 무역분쟁과 관계없이 견조한 성장 지속

정부 SOC(사회간접자본) 투자 확대 시 수혜 예상

 

9. POSCO홀딩스 (희토류·전기차 소재 관련주)

🔹 기업 개요

196841일 설립, 1988610일 증권시장 상장

철강 및 2차전지 소재(양극재·음극재) 제조

글로벌 니켈·리튬·망간 광산 개발 및 공급

🔹 최근 실적 (20241분기)

매출액: 197,000억 원 (+6%)

영업이익: 12,400억 원 (+18%)

당기순이익: 8,900억 원 (+21%)

🔹 투자 포인트

미국, 호주와 희토류·리튬 합작 개발 진행 중

전기차 배터리 소재(니켈·리튬) 대량 생산

미중 무역분쟁 시 서방국가와 협력 강화


10. 대원화성 (전기차 배터리·니켈 관련주)

🔹 기업 개요

197121일 설립, 19891017일 증권시장 상장

합성가죽, 폴리우레탄, 배터리 분리막 소재 생산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에 배터리 부품 공급

🔹 최근 실적 (20241분기)

매출액: 389억 원 (-2.8%)

영업이익: 32.6억 원 (+14%)

당기순이익: 21.5억 원 (+9.6%)

🔹 투자 포인트

전기차 배터리 분리막·니켈 합금 소재 공급

미중 무역갈등 심화 시 공급망 재편 가능성

삼성SDI, LG엔솔과의 장기 계약으로 안정적 매출 구조

 

Critical Analysis by Professor Bion

TocTalk a Column : 변교수 평론 희토류 전쟁과 투자 전략

미중 무역전쟁으로 희토류 관련 기업들의 주가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유니온, 삼화전자, 티플랙스 등 대체 소재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희토류 대체재로 니켈, 리튬, 페라이트 마그넷이 부상하고 있다.

POSCO홀딩스, 대원화성이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투자자는 단기 변동성을 고려하면서 장기 성장성을 주목해야 한다.

 

미중 무역전쟁이 심화되면서 희토류 및 대체 소재 시장이 급변하고 있다.

 

첫째로, 희토류의 중요성

희토류는 반도체, 전기차, 방산 산업의 핵심 소재로,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둘째로, 대체재 개발의 필요성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조치로 인해 대체 소재(페라이트, 니켈, 리튬)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셋째로, 관련 기업들의 성장

POSCO홀딩스, 유니온, 삼화전자 등은 대체 소재 기술을 확보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넷째로, 투자 전략

단기적으로는 테마주 변동성이 크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대체 소재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향후 전망

희토류 시장의 변화에 따라 투자 전략을 유연하게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