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 & 학술/한국사 & 세계사140

[한국사의 창] 8-3. 영토와 역사 갈등 해결을 위해 노력하다 8-3. 영토와 역사 갈등 해결을 위해 노력하다 “아시아 3개국의 하모니, 한국, 중국, 일본 더 이상의 불협화음은 없습니다.” 이는 동북아역사재단 주최 대학생 광고 공모전에서 수상한 포스터에 실린 문구이다. 오늘날 우리나라와 주변의 동아시아 국가들은 서로 협력하여 발전하고 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각국이 독립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영토 문제와 역사 인식 문제 등으로 서로 갈등을 빚고 있다.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우리나라는 광복 후 영토 회복 과정에서 독도에 대한 영토 주권을 회복하였다. 1946년 연합국 최고 사령관 각서 제677호에서는 제주도와 울릉도, 독도를 통치상 행정상 일본에서 분리하여 한국에 반환한다고 명시하였다. 또한, 1951년 체결된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도 ‘일본은 한국의 .. 2023. 6. 26.
[한국사의 창] 8-2. 분단된 민족, 화해와 협력을 위해 노력하다 8-2. 분단된 민족, 화해와 협력을 위해 노력하다 2018년 ‘우리는 하나’라는 주제로 남과 북의 평화와 협력을 기원하는 무대가 평양에서 펼쳐졌다. 무대 정면의 대형 화면 양 옆과 관람석 뒷벽은 남북 화합을 상징하는 커다란 한반도기로 장식되었다. 공연은 남과 북의 가수들이 손을 잡고 함께 부른 통일 노래로 마무리되었다. 남북의 갈등 광복 이후 서로 다른 체제의 대한민국 정부와 북한 정권은 6·25 전쟁 이후 적대적 관계가 지속되었다. 정전 협정에 따라 1954년 한국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제네바 회담이 개최되었으나 성과 없이 끝나고, 남과 북의 지도자들은 북진 통일과 외세 배격을 주장하며 날카롭게 대립하였다.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부가 무너지자 대학생과 진보 세력을 중심으로 통일 운동이 일어났다... 2023. 6. 26.
[한국사의 창] 8-1. 북한이 권력 세습 체제를 이루다 8. 남북 화해와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노력 공동 경비 구역(JSA) 판문점은 남과 북 사이의 장벽이자 소통의 통로이다. 1976년 도끼 만행 사건이 벌어질 당시 판문점에는 남북한 사이의 군사적 긴장감이 최고조에 이르렀지만, 2018년에는 남과 북의 두 정상과 많은 사람이 이곳에서 통일을 이야기하였다. 8-1. 북한이 권력 세습 체제를 이루다 북한에서 김일성의 지시나 발언은 공문서나 언론 보도, 학술 논문 등에 실릴 때 특별한 활자로 인쇄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모든 가정과 건물의 내부에는 김일성, 김정일의 초상 사진을 벽면의 중심부에 걸도록 하였다. 김일성에 대한 우상화 작업은 북한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북한의 정치 1960년대 초 북한 정부는 중소 이념 분쟁을 계기로 정치, 외교, .. 2023. 6. 26.
[한국사의 창] 7-2. 변화하는 우리 사회 7-2. 변화하는 우리 사회 불과 40여 년 전인 1980년대만 해도 자녀가 ‘둘도 많다’라는 구호의 가족계획 캠페인이 한창이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어 출산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게다가 다른 나라에 비해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2017년에는 전체 인구에서 노년층 인구의 비율이 14% 이상인 고령 사회로 진입하였다. 가족 형태와 인구 구조의 변화 산업화와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가족 구성의 형태는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바뀌었고, 최근에는 1인 가구가 급속히 늘고 있다. 또한, 대가족 중심의 가족 형태 해체와 의료 기술의 발달에 따라 혼자 사는 노년층이 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독거노인의 질병과 빈곤 등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청년 .. 2023. 6. 26.
[한국사의 창] 7-1. 세계화에 따라 한국 경제가 변화하다 7. 외환 위기와 사회 경제적 변화 1998년 1월부터 4월까지 시민들은 자발적인 금 모으기 운동을 벌였다. 기업가, 연예인, 정치인, 종교 지도자 등이 금을 기탁하며 참여를 독려하였고, 전국적으로 225톤 이상의 금이 모였다. 이렇게 모인 금을 수출해 정부는 외환 보유고를 22억 달러나 늘릴 수 있었다. 당시 금 모으기 운동은 ‘제2의 국채 보상 운동’이라고 불렸다. 7-1. 세계화에 따라 한국 경제가 변화하다 우루과이 라운드(UR) 협상이 타결되고 쌀 시장 개방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자 농민들은 학생, 시민들과 함께 쌀 시장 개방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우루과이 라운드의 재협상과 국회 비준 거부, 대통령의 협상 무효 선언과 이행 계획서 제출 중단 등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시장 개방과 .. 2023. 6. 26.
[한국사의 창] 6-2. 시민 사회가 성장하다 6-2. 시민 사회가 성장하다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VANK)는 인터넷상에서 전 세계 외국인에게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기 위해 설립되었다. 반크는 일본의 교과서 왜곡이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 독도 동해 표기 등 일본의 과거사 문제를 경고 고발하고, 전 세계인에게 한국의 역사를 올바르게 전달하고자 다양한 홍보 활동을 펼치고 있다. 시민운동의 성장과 민주화의 진전 6월 민주 항쟁 이후 민주화가 진전되면서 비정부 기구(NGO)1인 시민 단체가 성장하였다. 시민 단체는 경제 정의, 환경, 여성, 사회적 약자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며 사회 문제를 제기하였다.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경제 정의 실천 시민 연합(경실련)은 급속한 경제 성장 과정에서 생겨난 부동산 투기, 정경 유착, 불공정한 노사 관계.. 2023. 6.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