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 이슈 평론/정책 이슈 & 교육 복지

대학들 줄줄이 등록금 인상! 고려대 16년 만에 인상 결정

by 변교수 2025. 2. 1.
반응형

고려대·성균관대·아주대 등 대학들 등록금 인상, 학부생들 부담 커져

대학 등록금 인상, 16년 만에 고려대도 5% 인상

2025년 대학 등록금, 서울 주요 대학들 인상 발표

등록금 인상, 학부 등록금 5% 넘는 대학들 – 학생들 반발

고려대, 16년 만에 학부 등록금 인상 – 물가 상승에 따른 결정

성균관대와 아주대 등록금 인상, 대학 재정위기와 학생 부담 사이

 

An Introduction

2025131, 주요 대학들이 줄줄이 등록금 인상을 발표했다. 고려대는 16년 만에 학부 등록금을 5% 인상하는 결정을 내렸으며, 성균관대와 아주대도 각각 4.9%5.2%의 인상률을 제시했다. 이에 대한 논의는 각 대학의 등록금심의위원회에서 이루어졌고, 물가 상승과 대학의 재정적 어려움이 주요 이유로 작용했다. 학생들은 등록금 인상이 학생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준다고 반발했지만, 대학 측은 발전을 위한 재원 확보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The Main Discourse

Story Cut 1. 고려대, 16년 만에 등록금 인상

고려대는 2009년 이후 처음으로 학부 등록금을 인상했다. 등록금심의위원회는 4차 회의를 통해 5.0% 인상을 결정했다. 당초 제시된 5.49% 인상안은 논의 끝에 다소 낮춰졌다. 이 인상은 학부 등록금을 동결해온 2010년 이후 대학의 재정적 어려움을 반영한 결정이었다. 학교 측은 물가 상승에 따른 부담을 토로하며 학생들을 설득한 것으로 전해졌다.

 

Story Cut 2. 성균관대, 14년 만에 등록금 인상

성균관대는 2011년 이후 처음으로 등록금을 인상했다. 4.9%의 인상률을 확정하며, 물가 상승과 재정적 어려움을 이유로 들었다. 학생들은 동결을 원했지만, 결국 학교 측의 요구에 따라 인상이 결정됐다. 이는 2012년 등록금을 인하한 뒤 2013년부터 12년간 등록금이 동결된 상황에서 이루어진 변화였다.

 

Story Cut 3. 아주대, 16년 만의 등록금 인상

아주대는 지난 212차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거쳐 5.2%의 등록금 인상안을 확정했다. 아주대는 2008년 이후 16년 만에 등록금을 인상한 것으로, 이는 대학의 재정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결정이었다. 학생들은 동결을 원했지만, 학교 측은 지속 가능한 재정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Story Cut 4. 그 외 대학들의 등록금 인상

한국외대, 연세대, 동국대 등도 학부 등록금 인상을 결정했다. 각 대학들은 4% 이상의 인상률을 제시하며, 물가 상승과 대학 운영에 필요한 재정적 여건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특히, 연세대와 동국대는 4.98%의 인상률을 적용하며, 대학 내 재정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Story Cut 5. 학생들의 반발과 대학의 입장

학생들은 등록금 인상이 과도하다고 반발하고 있다. 특히, 16년 동안 등록금을 동결한 대학들에서는 학생들의 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그러나 대학들은 발전을 위한 재원 확보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물가 상승과 급격한 경제 변화 속에서 대학들의 재정적 어려움이 커졌기 때문에, 인상 결정은 불가피했다고 해석되고 있다.

 

Critical Analysis by Professor Bion

TocTalk a Column. 변교수 평론 대학들 줄줄이 등록금 인상 결정, 고려대 16년 만에 인상

전국 주요 대학들이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고려대, 성균관대, 아주대 등 주요 대학들이 등록금을 5% 이상 인상했다.

성균관대는 14년 만에 등록금 인상을 결정했고, 아주대는 16년 만에 인상했다.

학생들은 등록금 인상이 과도하다며 반발하고 있다.

대학 측은 물가 상승과 재정 문제를 이유로 등록금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20251, 주요 대학들이 잇따라 등록금을 인상하는 결정을 내렸다. 고려대는 16년 만에 학부 등록금을 인상했으며, 성균관대와 아주대 역시 등록금을 인상했다. 등록금 인상은 대학들의 재정 위기와 학생들의 부담 사이에서 중요한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물가 상승과 대학 운영을 위한 재정적 어려움이 그 배경으로 꼽히고 있다.

 

첫째, 고려대와 성균관대, 아주대 등은 2000년대 중반부터 동결된 등록금을 16년 만에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그간 대학들은 물가 상승에 따라 등록금을 동결하거나 인하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제는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금을 인상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이와 같은 결정은 대학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필수적인 조치로 이해될 수 있다.

 

둘째, 등록금 인상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특히, 대학생들의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학생들은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학생들은 생활비와 학비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번 인상은 이러한 부담을 더 키우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대학은 이를 고려한 더 나은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셋째, 대학들은 재정 위기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등록금을 인상했지만, 그동안의 재정 관리와 효율성을 따져봐야 한다. 대학의 재정 문제는 단기적인 인상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더 근본적인 재정 관리와 구조 개혁이 필요한 시점이다.

 

넷째, 학생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대학들은 이를 감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학문적 환경과 연구, 학생 복지 등 대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재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학생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 학비 인상 없이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결국 대학 등록금 인상은 어쩔 수 없는 결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결정이 학생들에게 과중한 부담을 주지 않도록, 정부와 대학은 보다 나은 재정 운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학생들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때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