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 이슈 평론/국제 이슈 & 전쟁 분쟁

미국 이것밖에 안 돼! 정부는 어딨나! 늦장 지원에 '분통'

by 변교수 2023. 8. 14.
반응형

미국 이것밖에 안 돼! "미숙한 정부하와이 산불 피해 주민들 늦장 지원에 '분통'

미국 하와이 산불 참사: 미숙한 재난 대비와 느린 구호 조치로 인한 주민 불만

하와이 산불 사망자 89나무들 땅속서 불타는 중

산불 참사하와이 재난지역 선포느린 대응에 이재민 분노

산불 피해하와이 주민들, 정부 늑장 지원에 불만 목소리 고조

 

An Introduction:

하와이 마우이섬에서 발생한 산불 참사가 100여 년 만에 최악의 인명 피해를 낸 사건으로 미국을 뒤흔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정부의 미숙한 재난 대비와 느린 구호 조치로 인해 주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이 필요하며, 비판과 동시에 지역사회의 연대가 빛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미국 하와이주 마우이섬 라하이나 지역의 불에 탄 민가에 11일(현지시간)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AFP연합뉴스
미국 하와이주 마우이섬 라하이나 지역의 불에 탄 민가에 11일(현지시간)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AFP연합뉴스

 

The Main Discourse:

Fact Check 1: 미국 하와이에서 펼쳐지는 재난의 현실

하와이 마우이섬 서부 일대에서 발생한 산불로 수백 명의 주민이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마우이섬 주민들은 화재로 인해 집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전력과 인터넷 통신 차단으로 인해 고립된 상황에서 생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수도가 오염되어 식수조차 섭취를 삼가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Fact Check 2: 자원봉사자들의 지원과 주민들의 불만

마우이 지역의 주민들은 정부 기관보다는 자원봉사자들로부터 실질적인 도움을 받는 상황입니다. 라하이나 북쪽 나필리 공원에서 설치된 임시 배급소에서 자원봉사자들로부터 긴급 구호 물품을 받아 가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지역사회의 지원에 큰 감동하면서도 정부의 대응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화염에 휩쓸린 미국 하와이주 마우이섬 라하이나 지역의 민가가 11일(현지시간) 폐허로 변해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화염에 휩쓸린 미국 하와이주 마우이섬 라하이나 지역의 민가가 11일(현지시간) 폐허로 변해 있다. 로이터연합뉴스/미국 하와이주 마우이섬 산불의 장기화 가능성이 제기됐다. 건조한 대기와 강풍으로 진화 속도는 더딘데, 땅속에서 타고 있는 나무뿌리가 불씨를 다시 키울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망자는 89명으로 늘어 미국에서 100년 만에 발생한 최악의 산불 참사로 기록됐다.

 

Fact Check 3: 정부의 미숙한 대응과 지역사회의 연대

조 바이든 대통령의 재난지역 선포와 복구 지원 약속에도 불구하고, 현지 주민들은 지원의 손길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지 당국과 연방 정부 공무원들은 피해 지역에서 상주하며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대규모 구호 물품이 도착하기까지 시간이 걸려 구호 인력과 물품 부족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에 더 의존하게 되며, 정부의 미숙한 대응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Fact Check 4: 정부의 대응과 주민의 목소리

정부와 지역사회 간의 협력과 민감한 상황에 대한 대응은 이 사건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미국 대통령의 선포와 약속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지원을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민들의 신속한 구호와 안전을 위한 대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습니다.

 

Fact Check 5: 하와이 당국의 미숙한 대응과 과소평가

재난 상황에서 하와이 당국은 경보 사이렌을 울리지 않았고, 산불 위험을 과소평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피해를 보며 미숙한 대응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는 당국의 미숙한 대응이 어떻게 재난 피해를 더 크게 만들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국 하와이주 마우이섬 리하이나에서 자동차가 불에 탄 채 방치돼 있다.
미국 하와이주 마우이섬 리하이나에서 자동차가 불에 탄 채 방치돼 있다. AFP연합뉴스 /마우이섬에서 소방관들과 동행해 화재 현장을 촬영하고 있는 사진작가 대니얼 설리반은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스채널 CNN에서 “불을 끈 곳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곳의 땅속에서 나무뿌리가 타고 있다. 토양 온도는 화씨 180~200도(섭씨 82~93도)로 상승했다. 불은 어디서든 날 수 있다”고 말했다.

 

TocTalk Essay: 연대와 비판으로 맞닥뜨린 재난의 시간

하와이 마우이섬에서 벌어지는 이 재난은 자연재해에 대비하는 데 있어서 정부와 지역사회 간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재난의 발생으로 인해 주민들은 정부의 대응에 대한 불만을 나타내면서도, 지역사회의 연대와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하와이 주민들은 정부의 지원이 미흡하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한 비판 이상으로, 재난 상황에서의 정부와 사회 간의 긴밀한 협력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재난은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인간적인 선택과 도덕적 판단이 얽혀 있는 복잡한 사례입니다.

 

지역사회와 정부의 협력 없이는 재난 대비와 구호 조치가 무색해질 수 있습니다. 자원봉사자들의 지원은 주민들에게 힘이 되고 있지만, 이는 장기적인 대응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정부와 사회 간의 협력은 지속적인 재난 관리와 대비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재난 대비와 구호 조치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됩니다. 연대와 협력 없이는 어떤 재난도 완벽하게 대처하기 어렵습니다. 이 사건은 우리에게 지역사회와 정부의 역할, 그리고 자원봉사자들의 소중함을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미래의 재난에 대비하며 사회 전체의 협력과 지원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잊지 않아야 합니다.

 

이 재난은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줄까요? 우리는 재난 상황에서 정부와 지역사회 간의 협력, 민감한 대응, 그리고 주민들의 목소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됩니다. 재난 대비에서는 정부의 미숙한 대응과 지역사회의 연대 없이는 효과적인 조처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재난 상황에서 주민들은 자신의 목소리를 더욱 강조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느린 대응과 미숙한 대비에 대한 비판을 통해 재난 상황에서 주민들의 목소리와 요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판은 정부에게 더 나은 대비와 지원의 방안을 모색하도록 격려하고 있습니다.

마우이섬에서 바람은 다소 잦아들었지만, 소방당국은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진화율은 지난 12일 오후 3시를 기준으로 하와이 라하이나 지역에서 85%, 중부 해안인 풀레후·키헤이 지역에서 80%, 업컨트리 지역에서 50%로 파악됐다. 다소 늘었지만 속도가 붙지 않았다. 조시 그린 하와이 주지사는 이날 “사망자 수가 최소 89명으로 집계됐다”며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사망자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얘기다. AP통신은 “미국에서 100여년 만에 발생한 최악의 산불로 남게 됐다”고 보도했다. 미국에서 100여년 안에 최악으로 평가되는 화마 참사는 1918년 미네소타주 칼턴카운티 산불이다. 당시 수백명이 사망하고 주택 수천채가 불에 탔다. 마우이섬 산불은 2018년 85명의 목숨을 앗아간 캘리포니아주 패러다이스마을 화재보다 더 많은 인명 피해를 냈다..

 

The finishing touches

하와이 마우이섬에서 벌어진 산불 참사는 미숙한 재난 대비와 느린 구호 조치로 주민들의 불만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이 사건을 통해 우리는 재난 상황에서의 협력과 연대, 주민들의 목소리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앞으로의 재난 대비와 대응에 있어서는 정부와 지역사회, 자원봉사자들의 협력이 필요하며, 주민들의 목소리를 듣고 반영하는 과정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번 재난은 우리에게 지역사회와 정부의 역할, 그리고 개선할 점을 생각해보게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미래의 재난에 대비하며 더 나은 대비와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재난 상황에서의 인간적인 소중함과 연대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기억하며, 더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