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 토레스 하이브리드, 경쟁사 압도하는 대용량 배터리·모터 – 도심 94% EV 모드 주행
거친 SUV의 부드러운 질주 – 토레스 하이브리드, 정숙성·안정성 '합격점'
전기차 같은 회생제동에 높은 EV 모드 비중 – 토레스 하이브리드, 연비는 아쉬워
가성비 하이브리드 등장? 토레스 하이브리드, 경쟁 모델 대비 착한 가격 '눈길'
넓은 실내·와일드 디자인은 그대로 – 토레스 하이브리드, 연비·정숙성까지 잡았다
하이브리드 구매 망설였다면? KGM 토레스 하이브리드가 대안될 수 있을까

▌Basic Information
■ 가격 : 3,140~3,635만원 구매혜택
■ 연료 : 가솔린, 하이브리드 내차시세
■ 연비 : 복합 15.3~15.7km/ℓ 도심 16.2~16.6, 고속 14.2~14.6
■ 출력 : 150hp 엔진
■ 엔진 : I4 싱글터보

▌An Introduction
KG모빌리티(KGM)가 첫 번째 하이브리드 모델인 '토레스 하이브리드'를 출시하며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겉모습은 강인한 정통 SUV의 면모를 그대로 유지했지만, 막상 시동을 걸고 주행을 시작하면 전기차에 가까운 놀라운 정숙성과 부드러운 주행감을 선사하며 반전 매력을 뽐낸다. KGM은 토레스 하이브리드에 동급 경쟁 모델 중 가장 큰 용량의 배터리와 모터를 탑재하여 EV 모드 주행 비율을 극대화하는 데 주력했다고 밝혔다. 본 기사에서는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주요 특징과 실제 시승 후 느꼈던 성능, 디자인, 가격 경쟁력 등을 상세히 살펴보고, 하이브리드 SUV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수 있을지 전망해본다.

▌The Main Discourse
Story Cut 1. 전기차에 가까운 하이브리드? KGM의 야심찬 기술력
KGM은 토레스 하이브리드를 소개하며 단순히 가솔린 엔진에 전기 모터를 더한 수준이 아닌, 전기차에 더 가까운 구동 환경을 구현하고자 노력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1.83kwh의 대용량 배터리와 130kwh의 강력한 모터를 탑재했으며, BYD와의 공동 개발을 통해 탄생한 듀얼 테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했다. 이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전용 듀얼 모터로 충전과 구동을 동시에 수행하며, 직병렬 하이브리드 방식을 채택하여 병렬형 대비 더욱 전기차와 유사한 주행감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KGM의 이러한 기술적인 노력은 실제 도심 주행의 94%를 EV 모드로 구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Story Cut 2. 반전 매력의 주행 성능: 정숙성과 안정감을 동시에
토레스 하이브리드를 직접 시승해 본 결과, 외관의 와일드한 이미지와는 상반되는 부드럽고 정숙한 주행 성능이 인상적이었다. 저속 주행 시에는 거의 소음 없이 전기차처럼 조용하게 움직였으며, 고속으로 주행하더라도 차체가 안정적으로 도로를 붙잡고 부드럽게 나아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거친 노면이나 커브길에서도 불안함 없이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유지했으며, 풍절음 또한 효과적으로 차단되어 동승자와 편안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 이는 20인치 흡음형 타이어 적용과 엔진룸, 엔진 커버, 휠하우스 등 다양한 부위에 적용된 흡차음재 덕분으로 분석된다.

Story Cut 3. 전기차 감성 더한 회생제동과 높은 EV 모드 비율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운전자가 원하는 대로 회생제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휠 뒤편에 패들 시프트를 제공한다. 0단계부터 3단계까지 조절 가능하며, 가장 높은 단계로 설정하면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는 순간 마치 전기차처럼 훅 당기면서 속도가 줄어드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실제 45km를 주행한 후 내부 디스플레이를 확인한 결과, EV 모드로 주행한 비중이 81%라는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토레스 하이브리드가 단순히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한 것을 넘어, 상당 부분 전기차와 유사한 주행 경험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Story Cut 4. 디자인과 편의성: 기존 토레스의 장점 계승 및 개선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디자인은 기존 가솔린 모델을 통해 이미 검증받은 강인하고 모던한 정통 SUV 스타일을 그대로 계승했다. 힘 있고 굵은 라인과 풍부한 볼륨감은 여전히 매력적이며, 깔끔하게 정돈된 내부 디자인은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센터패시아에는 비상등과 송풍구만 남기고 대부분의 기능을 디스플레이에 통합하여 더욱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었다. 또한, KGM은 기존 고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차세대 통합 UX 플랫폼 '아테나 2.0'을 적용하고, 2열 열선 시트 조절 기능을 앞좌석 디스플레이로 옮기는 등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엿보였다. 특히 알파인 오디오 시스템은 풍부하고 깊은 음향 경험을 제공하여 만족도를 높였다. 다만 선루프와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옵션으로도 선택할 수 없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Story Cut 5. 놀라운 가격 경쟁력: 가성비 하이브리드 SUV의 등장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가장 주목할 만한 점 중 하나는 바로 가격 경쟁력이다. T5 트림은 3140만원, T7 트림은 3635만원으로 책정되었는데, 이는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및 적용 비용을 고려했을 때 매우 합리적인 가격대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모델 출시 시 경쟁 브랜드들이 가솔린 모델 대비 평균 400만원 후반대의 가격 인상을 단행하는 것에 비해,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343만원의 인상폭을 보여준다. 이미 가성비 SUV로 정평이 나 있던 토레스 가솔린 모델의 장점을 그대로 이어받아,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가성비 하이브리드 SUV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자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된다.

▌Critical Analysis by Professor Bion
TocTalk a Essay. 변교수 평론 – 토레스 하이브리드, 와일드함과 정숙함의 혁신적 융합
■ KGM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강인한 외관 디자인과 전기차에 준하는 정숙한 주행 성능이라는 혁신적인 조합을 제시한다.
■ BYD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된 듀얼 테크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높은 EV 모드 주행 비율을 구현하며 친환경성을 강조한다.
■ 동급 경쟁 모델 대비 뛰어난 가격 경쟁력은 토레스 하이브리드를 매력적인 선택지로 부각시키는 핵심 요소이다.
■ 기존 토레스의 장점인 넓은 실내 공간과 우수한 활용성에 더해진 연비 개선과 정숙성은 상품성을 한층 강화한다.
■ 다만 일부 편의 사양의 부재는 아쉬움으로 남으며, 향후 KGM의 지속적인 상품성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KGM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전통적인 SUV의 강인한 디자인과 최신 하이브리드 기술의 정숙성을 융합하여 기존 SUV 시장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혁신적인 모델로 평가할 수 있다. 겉모습에서는 오프로드 성능까지 염두에 둔 듯한 와일드한 매력을 풍기는 반면, 실제 주행에서는 전기차에 가까운 부드러움과 정숙성을 구현하며 운전자에게 놀라운 반전 경험을 선사한다. 이는 KGM이 단순히 기존 모델에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추가하는 수준을 넘어,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심도 깊은 고민과 기술 개발 노력을 기울였음을 시사한다.
첫째로,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BYD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된 혁신적인 듀얼 테크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대용량 배터리와 강력한 모터를 기반으로 도심 주행의 대부분을 EV 모드로 가능하게 하여 뛰어난 친환경성을 자랑한다. 이는 단순히 연비 개선 효과를 넘어, 소음과 배기가스 배출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도심 주행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KGM의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하이브리드 SUV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로,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기존 토레스 모델의 성공 요인이었던 넓은 실내 공간과 우수한 공간 활용성을 그대로 계승하면서 하이브리드 모델만의 장점을 더했다. 넓고 편안한 실내 공간은 가족 단위 소비자들에게 여전히 매력적인 요소이며, 여기에 향상된 연비와 정숙한 주행 성능은 상품성을 한층 강화한다. 이는 기존 토레스 고객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면서도 실용적인 SUV를 찾는 소비자들에게도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로,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뛰어난 가격 경쟁력은 시장에서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 경쟁 브랜드의 하이브리드 SUV 모델 대비 합리적인 가격대로 출시됨으로써, 하이브리드 차량 구매를 망설였던 소비자들에게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이는 KGM이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자층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하이브리드 SUV 시장의 판도를 바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넷째로,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전반적으로 높은 상품성을 갖추고 있지만, 일부 편의 사양의 부재는 아쉬움으로 남는다. 선루프나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같은 선호도가 높은 옵션을 선택할 수 없다는 점은 일부 소비자들에게는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향후 KGM은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상품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KGM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와일드한 디자인과 정숙한 주행 성능의 혁신적인 융합, 뛰어난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하이브리드 SUV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가능성이 높은 모델이다. BYD와의 협력을 통한 친환경 기술력 확보, 기존 모델의 장점 계승, 그리고 합리적인 가격 정책은 토레스 하이브리드를 동급 경쟁 모델 대비 차별화된 매력을 갖춘 선택지로 만들어준다. 향후 KGM의 지속적인 상품성 개선 노력을 통해 토레스 하이브리드가 국내 SUV 시장에서 더욱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핫 이슈 평론 > 과학 기술 & 자동차 IT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의 테슬라' F-35의 치명적 약점은 '해킹' – 한국 공군도 '불안' (0) | 2025.04.09 |
---|---|
연비 17.3km/ℓ, 폭스바겐 신형 골프, 가격-연비 '두 마리 토끼' 잡았다 (1) | 2025.04.09 |
터미네이터 현실로? 한국 연구진, 변신자재 '액체 로봇' 개발 성공! (0) | 2025.04.06 |
미세 플라스틱, 정말 위험하다! AI 노화 예측 이미지 충격 공개 (0) | 2025.04.06 |
51초 만에 뚫린다! 초고속 사이버 공격에 보안 '골든 타임' 사라졌다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