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550

갑오개혁을 추진하다 2. 갑오개혁을 추진하다 새로운 정권은 군국기무처를 설치하여 갑신정변의 개혁안과 동학농민군의 요구를 부분적으로 수용한 개혁 법안을 제정하고 공포하였다. 그러나 일부 개혁이 이루어졌으나, 이는 완전한 독자적인 개혁은 아니었다. 군국기무처 설치와 제1차 개혁 조선 정부는 농민군과 전주 화약을 체결한 이후 교정청을 설치하여 독자적 개혁을 추진하려 하였다. 그러나 일본군은 경복궁을 점령하고 흥선 대원군을 앞세워 김홍집을 수반으로 하는 새로운 정권을 수립하였다. 새 정권은 군국기무처를 설치하여 갑신정변의 개혁안과 동학농민군의 요구를 일부 수용한 개혁 법안을 제정 공포하였다(제1차 개혁, 1894). 정치 분야에서는 중국의 연호 대신 개국 기년을 사용하였다. 궁내부를 설치하여 왕실과 정부 사무를 분리하고 국왕의 권.. 2023. 5. 22.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나다 3.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1894년 이후 동학 농민 운동은 지속 되었으며, 1901년경에도 이러한 운동이 계속되었다. 동학 농민 운동은 불공평한 세금과 지배자들의 착취에 항의하며 농민들의 권리와 생활 개선을 목표로 하였다. 이는 조선 사회의 불평등과 농민 계층의 억압에 대한 항쟁이었다. 1.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나다 동학 농민 운동 당시 농민군의 무기는 죽창이나 농기구가 대부분이었고, 기껏해야 화승총 정도가 있었다. 농민군은 대나무를 쪼개 장태를 만들고 그 안을 볏짚이나 솜으로 채워 총알을 막는 데 활용하였다. 이에 반해 관군과 일본군은 소총과 기관총 등 근대식 무기로 무장하였다. 이러하듯 무기에서 큰 차이가 났으나 농민군은 관군과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동학의 확산과 교조 신원 운동 개.. 2023. 5. 22.
갑신정변이 일어나고 열강의 대립이 커지다 4. 갑신정변이 일어나고 열강의 대립이 커지다 답례 사절단으로 미국에 갔다 돌아온 홍영식은 고종에게 근대적인 우편 제도를 시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하여 정부는 우편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우정총국을 설립하였다. 우정총국의 개국을 축하하는 연회가 열리던 날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등 개화파 관리들은 정변을 일으켰다. 개화파의 분화 임오군란 이후 청의 간섭이 심해지자 개화 정책의 추진 방법과 외교의 방향을 놓고 개화파 안에 입장 차이가 벌어졌다. 김윤식, 김홍집, 어윤중 등 온건 개화파는 청의 양무운동을 본받아 유교 질서를 지키면서 서양의 과학 기술을 수용하자는 동도서기론을 주장하였다. 이들은 청과 전통적인 우호 관계를 유지하려 하였다. 반면,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등 급진 개화파는 문명 개화론을 내.. 2023. 5. 22.
개화 정책을 둘러싸고 갈등이 일어나다 3. 개화 정책을 둘러싸고 갈등이 일어나다 고종은 수신사 파견 전에 김기수를 만나 “들을 만한 모든 일은 하나도 빠뜨리지 말고 반드시 기록해 오라.”라고 거듭 당부하였다고 한다. 일본에 도착한 수신사 일행은 일본의 주요 인사를 만나고 근대 시설을 살펴본 후 돌아왔다. 개화 정책의 추진 강화도 조약 체결 직후 정부는 일본에 수신사를 파견하여 근대화에 필요한 기술과 정보를 조사하였다. 1차 수신사 김기수 일행은 일본의 근대 시설을 시찰하였다(1876). 일본과의 조약 개정을 위해 파견된 2차 수신사 김홍집 일행은 목적을 이루지는 못하였지만 일본의 발전상을 살펴보고 돌아왔다(1880). 조선 정부는 이들의 시찰 의견을 바탕으로 대외 관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근대 문물을 수용하기 위해 개화 정책을 총괄하는 통리기.. 2023. 5. 22.
강화도 조약으로 조선이 개항하다. 2. 강화도 조약으로 조선이 개항하다. 1875년 10월 2일, 일본의 한 신문에는 운요호의 강화도 공격과 관련해 “조선 연해를 측량한 일을 일본 정부가 조선 정부에 통고하지 않았다. 강화도에 배가 들어간 일은 조선이 금지하였는데, 멋대로 들어갔으니 잘못은 우리에게 있다.”라는 기사가 실렸다. 기사에서 알 수 있듯 당시 일본은 조선 측의 발포를 유도하였다. 운요호 사건과 강화도 조약 1873년 고종이 직접 정치에 나서면서 조선의 대외 정책이 변하고 문호 개방을 주장하는 세력이 힘을 얻었다. 이 무렵 일본은 조선 침략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운요호를 강화도에 보냈다. 운요호의 예고 없는 접근에 강화도의 수비대가 포격을 가하자 운요호는 영종도에 상륙하여 살상을 저질렀다(운요호 사건, 1875). 이후 일본은.. 2023. 5. 22.
중국과 일본이 근대화를 추진하다 2. 동아시아의 변화와 근대적 개혁의 추진 동아시아 국가들은 혼돈과 저항을 통해 근대화와 독립을 추구하였다. 이는 서구의 영향력과 침략에 대한 대응으로서 동아시아의 국력을 강화하고 자주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노력이었으며 이러한 근대적 개혁 추진 과정은 동아시아의 역사와 현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 중국과 일본이 근대화를 추진하다 1871년 일본 요코하마 항구에서 이와쿠라 사절단이 미국으로 향하는 배에 올랐다. 이와쿠라 사절단은 당시 정부 실권자였던 이와쿠라 도모미를 포함하여 관료들과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미국에 도착한 뒤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을 방문하여 제도와 문물을 상세히 살펴보고 1년 10개월 만에 귀국하였다. 중국의 양무운동 청에서는 개항 이후 외국 상품의 수입이 크게 늘고.. 2023. 5.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