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 & 역사 학술/한국사 & 세계사140

[한국사의 창] 6-1. 민주주의가 발달하다 6. 6월 민주 항쟁과 민주주의의 발전 1987년 1월 14일,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수배 중인 선배의 소재를 추궁받던 서울대학교 대학생 박종철이 고문을 받다가 숨졌다. 경찰은 “책상을 '탁' 치자 '억' 하고 죽었다.”라는 터무니없는 발표를 하여 사건 자체를 숨기려 하였다. 그러던 중 6월 9일,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은폐 규탄’ 시위에 참여하였던 연세대학교 대학생 이한열이 시위 도중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의식 불명에 빠졌다. 그러자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연일 계속되었다. 6-1. 민주주의가 발달하다 “오늘은 기쁜 날, 찻값은 무료입니다. 가화 다방 주인백.” 6·29 민주화 선언이 발표되던 날, 서울 곳곳의 찻집과 음식점들은 무료로 손님을 맞았다. 그날 오후부터 밤까지 가화 다방을 찾은 많은 .. 2023. 6. 25.
[한국사의 창] 5-3. 대중문화가 성장하다 5-3. 대중문화가 성장하다 1961년 텔레비전 방송국이 설립되고, 1966년 최초의 국산 흑백텔레비전이 등장하였다. 텔레비전은 가족이 공유하는 대중 매체로, 온 가족이 둘러앉아 텔레비전을 보는 것은 일상적인 풍경이 되었다. 텔레비전 보급 초기에는 동네 사람들이 텔레비전이 있는 집에 모여 방송을 함께 시청하기도 하였다. 교육의 변화 광복 이후 교육은 질적 양적으로 큰 성장을 이루었다. 4·19 혁명 이후 장면 정부 시기에 교육 자치제가 시행되었으나, 5·16 군사 정변 이후에는 교육에 대한 중앙 통제가 심화하였다. 이에 따라 학교에서는 군사 교육과 반공 교육 등 국가주의 교육을 강화하였다. 유신 체제 시기에는 국사 교육을 강화하고, 새마을 교육도 실시하였다. 전두환 정부는 국민 윤리 교육을 강조하고 평생.. 2023. 6. 25.
[한국사의 창] 5-2. 경제 성장에 따라 사회가 변화하다 5-2. 경제 성장에 따라 사회가 변화하다 1974년 8월 15일, 우리나라 최초로 지하철이 개통되어 지하철 1호선이 서울역에서 청량리 사이 운행을 시작하였다. 당시 지하철은 지하 15m 땅속을 달려 서울역에서 청량리까지 거리 7.8 ㎞를 18분 만에 주파하였다. 이후 지하철은 노선이 계속 확대되었으며, 시민의 발로서 대도시 교통난 해소에 크게 기여하였다. 산업화와 도시화, 일상생활의 변화 1960년대 이후 농업의 비중이 줄고 제조업과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커지면서, 도시의 일자리가 늘어나 인구가 도시로 몰리는 도시화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도시로 이동한 농민들은 대부분 안정된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도시 빈민이 되었다. 변두리의 높은 지대나 하천 주변에는 일명 판자촌으로 불리는 무허가 집단 주거 지역이.. 2023. 6. 25.
[한국사의 창] 5-1. 한강의 기적을 이루다 5. 경제 성장과 사회 문화의 변화 1990년대 이전에는 편지나 엽서가 중요한 통신 수단이었다. 그 때문에 우편물에 붙이는 우표에는 당시 정부의 주요 정책과 사업을 홍보하는 내용이 담기기도 하였다. 특히 박정희 정부 시기에 발행한 우표를 살펴보면, 1960~1970년대 경제 성장의 모습을 알 수 있다. 5-1. 한강의 기적을 이루다 박정희 대통령은 1966년 신년사에서 ‘일하는 해’를 표어로 정하고, 경제 발전에 매진해 달라고 국민에게 호소하였다. 이 시기 정부는 시책을 선전하고자 건전 가요를 만들어 보급하였는데, 일하는 해에 제작된 음반에는 「일하는 즐거움」이라는 노래와 악보가 수록되었다. 사실 정부는 1965년에도 ‘일하는 해’를 다짐하였었다. 1960년대는 그야말로 경제 성장에 집중한 시기였다. 경.. 2023. 6. 25.
[한국사의 창] 4-4. 5·18 민주화 운동이 일어나다 4-4. 5·18 민주화 운동이 일어나다 1980년 5, 18 민주화 운동 당시 광주 지역에 근무했던 경찰관의 근무 일지에는 민주화 운동 당시 시위의 진행 양상과 경찰의 대응, 사용 물품, 부상자, 계엄군의 개입 등이 요일별, 시간별로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특히 5월 18일 16시, 광주 한일은행 사거리에 ‘공수단 도착 진압’ 등의 메모는 당시 긴박했던 상황을 잘 나타내고 있다. 신군부의 등장과 서울의 봄 10·26 사태 이후 국무총리였던 최규하가 통일 주체 국민 회의를 통해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국민 사이에서는 유신 체제가 끝나고 민주 사회가 올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며 민주화에 대한 요구가 확산하였다. 그러나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노태우 등이 주도하는 신군부 세력이 쿠데타를 일으켜 군.. 2023. 6. 25.
[한국사의 창] 4-3. 유신 체제가 성립하다 4-3. 유신 체제가 성립하다 1972년 전국에서 뽑힌 통일 주체 국민 회의 대의원 2,359명이 장충체육관에 모여 대통령으로 단독 출마한 박정희 후보에 대해 찬반 투표를 하였다. 그 결과 찬성표는 2,357표였고, 2표는 기표에 실수한 무효표였다. 6년 뒤인 1978년 제2대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도 투표 2,578명 중 찬성 2,577표, 무효 1표로 99.9 %에 달하는 찬성표를 얻으면서 박정희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유신 체제의 성립 1969년 닉슨 독트린 발표 이후 냉전 체제가 완화되면서 국제적으로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미국은 중국과 관계 개선을 추진하는 한편, 베트남에서 미군을 철수하고 주한 미군도 감축하였다. 이러한 국제 관계 변화는 반공을 강조하며 정권을 유지하던 박정희 정부에게 불.. 2023.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