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 역사 학술/한국사 & 세계사

경제적 번영 속에서 발달한 송과 원의 서민 문화

by 변교수 2023. 5. 14.
반응형

3. 경제적 번영 속에서 발달한 송과 원의 서민 문화

사대부 사회의 형성과 변동

송 대에 학교가 증가하고 과거제가 강화되어 유교적 소양을 갖춘 사대부가 지배층으로 성장하였다. 이들은 과거로 관직에 진출하는 한편, 토지를 소유한 지주층으로서 소작인을 통해 농사를 지었다.

사대부가 유학 연구를 심화하면서 송의 유학은 우주의 원리와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철학적 측면이 발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남송의 주희는 새로운 유학인 성리학을 완성하였다. 성리학은 정통성과 대의명분을 강조하고, 개인의 도덕적 수양과 사회 질서의 수립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성리학은 사대부들이 서원에서 성리학을 강의하면서 점차 확산되었다.

한편, 원에서는 과거제가 약화되고 민족 차별 정책으로 민족별 선발 인원도 배정되어 사대부의 사회적 지위가 약화되었다.

 

농업과 상업의 발전

송 대에는 농업이 적극 장려되고 개간 사업이 진행되어 농지가 크게 늘어났다. 저습지를 제방으로 두르고 그 안을 농지로 만드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용골차와 같은 농기구가 널리 사용되었다. 벼농사 지역에서는 모내기(이앙법)가 널리 보급되었고, 창장강 이남에는 참파 벼가 도입되었다. 참파 벼는 가뭄에 강하고 성장기가 짧아 1년에 두 번 수확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농업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강남의 농업 생산이 화북 지방을 앞지르게 되었다. 12세기경에는 강남을 중심으로 목화가 경작되기 시작하였다. 원에서도 농업이 장려되었다. 이 무렵 왕정의 농서가 편찬되어 농업 기술 보급에 기여하였고, 목화 재배가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면직업이 발달하였다

송 대에는 농업 생산력이 증가하고, 제철, 자기, 견직업 등 수공업이 발달하면서 상업이 활성화되었다. 장거리 무역상과 중개 상인이 늘어났으며, 상공업자들은 행, 작 등의 동업 조합을 만들어 공동의 이익을 도모하였다. 송의 특산품은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및 아라비아 각국으로 수출되었다. 대외 무역이 활발해져 무역항이 발달하자, 정부는 광저우와 항저우 등에 시박사를 설치하여 무역 사무를 맡아보게 하였다. 상공업의 발달로 동전의 주조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동전은 고려, 일본 등지로 유통되었다. 그러나 동전의 부족(전황)이 계속되고 거래 규모가 커지면서 교자와 회자 등의 지폐가 만들어져 유통되었다.

한편, 송에서는 경제 발달과 인구 증가에 힘입어 도시가 발달하였다. 당 대까지 도시는 거주 지역과 상업 지역이 분리되어 있었으나, 송 대에는 이러한 구분이 사라지고 야간 통행금지가 해제되어 도시의 거리 곳곳에 상점들이 들어섰다.원 대에는 역참과 대운하를 정비하는 등 교통로가 발달하면서 상업이 번성하였다. 동서 교류와 상업의 발전으로 대도(베이징)와 임안(항저우) 등 도시들도 번영을 누렸다. 화폐 사용도 늘어 교초가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다

 

서민 문화와 과학 기술의 발전

송 대에 경제가 발달하면서 서민들의 생활 수준이 높아졌다. 여기에 도시 생활에 대한 규제도 완화되어 도시를 중심으로 서민 문화가 발달하였다. 도시 곳곳에는 갖가지 오락 시설이 있는 와자가 형성되었다. 와자에 생긴 구란(극장)에서는 만담과 잡극(연극)이 공연되었고, 이에 따라 공연 대본과 구어체 소설도 발달하였다. 이러한 도시 문화는 시장을 통해 지방으로 확산되었다.

송 대에는 과학 기술도 크게 발전하여 화약 무기, 나침반, 활판 인쇄술이 발명되었다. 송의 나침반은 조선술의 개량과 함께 원양 항해에 기여하였다. 그리고 활자를 이용해 인쇄하는 활판 인쇄술은 인쇄의 효율을 높여 주었다. 이러한 송의 과학 기술은 이후 세계 여러 지역에 전파되었다. 원에서도 서민 문화가 발달하였다. 도시민들이 연극 공연을 즐겨 두아원, 서상기등의 원곡(희곡)이 인기를 끌었는데, 그 내용은 서민들의 이야기를 담은 것이 많았다. 또 구어체로 된 소설이 많이 읽혔다.

원 대에는 색목인의 활동으로 이슬람 문화가 전래되어 새로운 문물이 만들어졌다. 곽수경은 대도에 천문대와 천문 관측기구를 만들고, 아라비아의 달력을 참고하여 수시력을 만들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