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 & 역사 학술/한국사 & 세계사140

[한국사의 창] 3. 민족 유일당 운동을 추진하다 3. 민족 유일당 운동을 추진하다 신간회는 1927년 경성에서 자치 운동 움직임에 반대한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이 중심이 되어 창립한 국내의 대표적인 민족 협동 전선이었다. 또한, 일제 강점기 최대 규모의 합법적 사회 운동 단체였다. 사회주의의 유입과 확산 3·1 운동 이후 일본, 만주, 연해주 등지를 통해 국내에 들어온 사회주의 사상은 청년,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퍼져 나갔다. 그 결과 농민, 노동자 단체들을 비롯해 많은 사회주의 단체가 만들어졌고, 각 단체 대표들이 모여 1925년에 조선 공산당을 결성하였다. 사회주의 운동은 사유 재산 제도에 바탕을 둔 자본주의 체제를 부정하였고, 농민과 노동자를 단결하여 일제를 타도하려 하였다. 이에 일제는 1925년에 치안 유지법을 만들어 사.. 2023. 6. 24.
[한국사의 창] 2. 독립을 위해 실력 양성에 힘쓰다 2. 독립을 위해 실력 양성에 힘쓰다 심훈의 소설 『상록수』 는 주인공들이 일제의 탄압에도 농촌 계몽의 의지를 다지는 내용을 담고 있다. 주인공들이 농촌 아이들에게 한글을 가르치는데, 그 모습을 ‘ 자에 ᄀ 하면 하고, 자에 ᄂ 하면 하면서 아이들은 제비 주둥이 같은 입을 일제히 벌렸다 오므렸다 한다.’라고 표현하였다. 이 작품에는 당시 우리 민족이 처한 현실과 희망이 나타나 있다. 물산 장려 운동 3·1 운동 이후 일부 지식인들은 일제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먼저 민족의 실력을 키워야 한다고 보았다. 이들은 언론을 통한 국민 계몽과 문맹 퇴치 운동, 민립 대학 설립 운동, 물산 장려 운동 등 실력 양성 운동을 전개하였다. 1920년대 들어 회사령이 폐지되자 일본의 자본이 한국에 본격적으로 진출하였고,.. 2023. 6. 24.
[한국사의 창] 1. 무장 독립 투쟁을 전개하다 3. 다양한 민족운동의 전개 안창호는 많은 국가와 도시를 다니며 국외 동포들 앞에서 연설하고, 독립 자금을 모으는 등 여러 활동을 하였다. 국외에 가기 위해 대한 제국 외부(오늘날의 외교부)와 중국 외교부 등에서 여권을 발급받았는데, 일제의 감시를 피해 중국 외교부 상하이 지점에서 중국 국적으로 여권을 발급받기도 하였다. 안창호가 발급받은 여권을 보면, 그가 세계 각국에서 펼친 독립운동의 여정을 짐작해 볼 수 있다. 1. 무장 독립 투쟁을 전개하다 “신대한국 독립군의 백만 용사야 / 조국의 부르심을 네가 아느냐 / 삼천리 이 천만의 우리 동포를 / 건질 이 너와 나로다 ...... 독립문의 자유 종이 울릴 때까지 싸우러 나가세” 이 노래는 1910년대부터 독립군이 불렀던 군가로, 나라를 되찾겠다는 의지가.. 2023. 6. 24.
[한국사의 창] 3. 민주 공화제의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수립하다 3. 민주 공화제의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수립하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독립운동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독립 공채를 발행하였다. 중국에서 발행한 독립 공채의 금액은 1,000원, 500원, 100원의 세 가지였으며, 우리나라가 독립한 이후에 원금을 상환하기로 하였다.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1983년 특별법을 만들어 2013년까지 신고된 총 57건의 독립 공채를 상환하였다. 임시 정부의 수립과 통합 3 1 운동을 계기로 여러 지역에서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연해주에서는 전로 한족회 중앙 총회를 열어 이를 대한 국민 의회로 개편하였고, 국내에서는 13도 대표가 모여 한성 정부를 세웠다. 중국 상하이에서도 독립운동가들이 임시 의정원을 만들어 임시 정부를 구성하였다. 여러 임시 정부는 곧바로 통합을 논.. 2023. 6. 24.
[한국사의 창] 2. 삼일 운동을 전개하다 2. 삼일 운동을 전개하다 이화 학당에서 공부하던 유관순은 1919년 3월 서울에서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이후 모든 학교에 휴교령이 내려지자, 유관순은 고향인 병천(현재의 천안시)으로 내려가 아우내 장터에서 독립 만세 운동을 벌였다. 헌병에게 체포된 유관순은 일제의 모진 고문에도 굴하지 않고 저항하다가 서대문 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삼일 독립 선언과 만세 시위 국제 정세의 변화 속에 국내에서도 독립 선언의 움직임이 일었다. 1919년 1월, 고종이 갑자기 승하하자 천도교, 기독교, 불교계 지도자들과 학생 대표들이 비밀리에 모임을 갖고 대대적인 만세 시위를 계획하였다. 전국적인 만세 시위를 준비하던 종교계 인사들은 천도교의 손병희와 기독교의 이승훈 등을 주축으로 하고, 불교계의 한용운이 연합하여 .. 2023. 6. 18.
[한국사의 창] 1.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이 전개되다 2.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1919년 중국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 지역에 있는 2층 건물을 대여하여 태극기를 내걸고 청사로 사용하였다. 이후 임시 정부는 상하이 내에서 여러 곳으로 청사를 옮기다가 1926년부터 1932년까지 푸칭리(보경리) 4호 건물에 자리 잡았다. 이 청사는 1989년 상하이 도시 개발 계획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하였으나,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의 요청으로 1993년에 복원되었다. 1.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이 전개되다 1907년 헤이그 특사로 만국 평화 회의에 참석한 이상설은 1906년 만주에 서전서숙이라는 학교를 세웠다. 이 학교에서는 역사, 지리, 국제 공법 등의 교육과 항일 민족 교육을 하였다. 특히 이상설은 교사의 급여, 교재비 등을 자신의 재산으로 .. 2023. 6.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