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 역사 학술/한국사 & 세계사

인류가 나타나다.

by 변교수 2023. 5. 14.
반응형
인류의 출현과 문명의 발생
   1. 인류의 출현과 선사 문화
   2. 문명의 발생

1 인류의 출현과 선사 문화

1. 인류가 나타나다

인류의 출현

390만 년 전 아프리카 지역에서 최초의 인류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가 출현하였다. 이들은 두 발로 서서 걸었고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180만 년 전에는 완전한 직립 보행을 하는 호모 에렉투스가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살았다. 호모 에렉투스는 두뇌 용량이 더 커지고 지능이 발달하여 한층 발전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불을 이용하고 언어로 의사소통을 하였다.

40만 년 전에는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가 등장하였다. 이들은 이전보다 발달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시체를 매장한 것으로 보아 사후 세계에 대한 관념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20만 년 전에는 현생 인류와 가까운 호모 사피엔스가 아프리카 지역에서 출현하였다. 이후 이들은 세계 여러 지역으로 퍼져 각지의 자연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갔다. 유럽 지역의 크로마뇽인과 중국의 상동인이 여기에 속한다. 호모 사피엔스는 황색, 백색, 흑색 인종과 같은 형질상의 특징을 갖추었으며, 알타미라와 라스코 동굴에 벽화를 남기기도 하였다.

 

구석기 시대의 전개

인류가 돌로 도구를 제작해 이용하면서부터 약 1만 년 전까지의 시기를 구석기 시대라고 한다. 이 시기에 인류는 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등의 뗀석기를 사용하여 짐승과 물고기를 잡았으며, 식물의 열매와 뿌리를 채집하여 식량을 얻었다. 사냥에는 긴밀한 협동이 필요하였으므로 그 과정에서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가 발달하였다. 구석기인들은 먹을 것을 찾아 이동하였기 때문에 일정한 거주지 없이 동굴이나 막집, 바위 그늘에서 생활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다산과 풍요를 기원하는 조각상이나 사냥의 성공을 기원하는 동굴 벽화를 남겼다.

 

2. 농경과 목축 생활의 시작

신석기 시대의 시작

1만 년 전 지구에서 마지막 빙기가 끝나면서 지구의 기온이 올라가자 생태계에 변화가 나타났다. 식물의 분포가 변화하는 한편, 매머드처럼 몸집이 큰 동물들은 사라졌고, 사슴이나 멧돼지, 토끼 같이 몸집이 작고 빠른 동물들과 다양한 어패류가 번성하였다. 이러한 자연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인류는 간석기와 토기 등을 만들어 사용하였는데, 이 시기를 신석기 시대라고 한다.

신석기 시대에는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어 인류의 생활이 크게 변화하였다(신석기 혁명). 인류는 농경과 목축을 하면서 자연에 있는 그대로를 얻는 단계에서 벗어나 식량을 생산하는 단계로 접어들었다. 그 결과 생산력이 크게 증가하고 생활 방식이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신석기 시대의 생활

신석기인들은 돌낫, 돌도끼와 같은 간석기를 사용하였고, 토기를 만들어 씨앗이나 생산물을 보관하는 데 활용하였다.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이나 그물을 만들기도 하였다. 신석기인들은 농사에 유리한 장소에 움집과 같은 집을 짓고 정착하여 촌락을 형성하였다. 촌락 주민들은 같은 조상을 모시고 재산을 공동으로 소유하며 생산물을 공평하게 나누어 혈연적인 씨족 사회를 형성하였다. 신석기 후기에 들어 생산력이 보다 더 향상되면서 촌락의 규모가 커지고 분업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농경이 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자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태양, 바람, 비 등 날씨와 관계된 자연 현상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태양과 물, 나무 등에 정령이 있다고 믿는 애니미즘이 생겨났으며 영혼 숭배, 거석 숭배 신앙 등도 나타났다.

 

신석기 시대의 촌락, 차탈회위크

터키 아나톨리아반도 남부에 있는 차탈회위크의 동쪽 언덕에는 기원전 7000~기원전 6000년경 형성된 신석기 시대의 거주지가 남아 있다. 이곳에는 점토질 벽돌로 지은 가옥들이 모여 있어 당시에 촌락이 이루어졌음을 짐작하게 한다. 집들은 서로 붙어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사다리를 타고 지붕에 올라가 집 안에 들어가거나 지붕 위를 옮겨 다녔다. 한편, 이 유적에서는 신전으로 짐작되는 건물들이 발견되었는데, 이 건물들은 내부에 신 조각상, 동물 머리 장식 등이 있어 일반 건물과 구별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