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 & 역사 학술297

동아시아 나라들이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하다. 5. 동아시아 나라들이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하다. 만주와 한반도의 삼국과 남북국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은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수용하면서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하였다. 삼국은 중국과 대립하는 한편, 중국에서 선진 문물을 수용하여 문화를 발전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를 일본에 전파하여 일본 고대 국가 형성에 기여하였다. 7세기에는 신라가 당의 도움을 받아 삼국을 통일하였고, 만주 지역에서 고구려 유민이 발해를 건국하여 남북국의 형세가 이루어졌다. 통일 신라와 발해는 당과 대립하면서도 사신과 유학생을 파견하여 당의 제도와 문화를 받아들였다. 또한 일본과도 교류를 전개하였다. 일본의 성립 일본은 4세기경 야마토 정권이 소국을 통합하여 통일 국가를 형성해 갔다. 6세기에는 쇼토쿠 태자가 중국과 한반도의 .. 2023. 5. 14.
수ᆞ당이 세계 제국으로 발전하다 4 수ᆞ당이 세계 제국으로 발전하다 수의 중국 통일 북주의 외척인 양견(문제)은 수를 세우고(581), 남조의 진을 멸망시켜 약 400년 동안 분열되었던 중국을 다시 통일하였다(589). 수 문제는 율령을 반포하고 각종 제도를 정비하여 황제권을 강화하였다. 그는 기존에 시행되던 균전제, 조용조, 부병제를 정비하여 국가 재정을 안정시켰으며, 9품중정제를 폐지하고 과거제를 시행하여 문벌 귀족 세력을 약화시켰다. 문제에 이어 즉위한 양제는 화북과 강남 지방을 연결하는 대운하를 완성하여 남북 간 물자 유통과 경제 통합을 강화하였다. 양제는 대외 진출을 추진하여 돌궐과 고구려를 공격하였는데, 대규모 군사를 동원한 고구려 원정은 실패하였다. 이러한 수의 무리한 대외 원정과 대규모 토목 공사는 농민들의 원성을 샀고,.. 2023. 5. 14.
북방 민족과 한족의 문화가 만난 위진 남북조 시대 3. 북방 민족과 한족의 문화가 만난 위진 남북조 시대 위진 남북조 시대의 전개 후한이 멸망한 이후 중국은 삼국 시대부터 수가 통일할 때까지 분열이 계속되었다(위진남북조 시대). 이 시기에 화북 지방은 북방 민족이 세운 여러 나라가 난립하다가(5호 16국), 선비족이 세운 북위에 통합되었다(439). 북위의 효문제는 균전제를 시행하여 농민들에게 토지를 분배하였다. 그리고 한족의 문물을 적극 수용하는 한화 정책을 추진하여 선비족의 복장과 언어를 금지하고 중국식 성을 사용하게 하였다. 그러나 효문제가 죽은 후 한화 정책으로 소외된 선비족이 반란을 일으켜 북위는 분열되었다. 북방 민족을 피해 화북에서 강남으로 내려온 한족은 동진을 세웠다. 이후 남조는 동진이 송, 제, 양, 진(陳)으로 교체되는 가운데 북조의.. 2023. 5. 14.
진ᆞ한 제국이 형성되다 2. 진ᆞ한 제국이 형성되다 진의 중국 통일 500여 년 동안 분열되었던 춘추 전국 시대를 통일한 것은 진(秦)이었다. 진은 상앙이 법가를 바탕으로 추진한 개혁에 성공하면서 국력을 강화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중국을 최초로 통일하였다(기원전 221). 통일 후 진의 왕은 자신을 첫 번째 황제라는 뜻의 ‘시황제’로 부르게 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였다. 시황제는 군현제를 확대 시행하여 전국을 36개 군으로 나눈 후 관리를 파견하였으며, 수도와 지방을 잇는 도로망을 건설하였다. 또한 전국의 화폐와 도량형, 문자를 통일하였고 분서갱유를 통해 반대 세력을 탄압하였다. 대외적으로는 흉노를 북쪽으로 몰아내고 만리장성을 쌓았으며, 남쪽으로 광둥과 베트남 북부 지역까지 영토를 넓혔다. 그러나 진의 가혹한 통치와.. 2023. 5. 14.
제후국 간의 경쟁 속에서 발전한 춘추 전국 시대 II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 1. 동아시아 세계의 형성 2. 동아시아 세계의 발전 3. 동아시아 세계의 변동 1 동아시아 세계의 형성 1. 제후국 간의 경쟁 속에서 발전한 춘추 전국 시대 춘추 전국 시대의 전개 주 왕조에서는 시간이 지나면서 왕실과 제후 간의 혈연적 유대가 약해져 제후들이 각자 세력을 키웠다. 이러한 가운데 견융족이 주의 수도 호경을 침입하자, 주는 수도를 낙읍(뤄양)으로 옮겼다. 이때부터 진이 중국을 통일할 때까지를 춘추 전국 시대라고 한다(기원전 770~기원전 221). 춘추 시대에는 춘추 5패가 오랑캐로부터 주 왕실을 보호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고 군사를 일으켜 제후국들을 다스렸다. 그러나 전국 시대에는 주 왕실이 소국으로 전락한 가운데 강한 제후국들이 약소 제후국들을 병합하였다. 이에 .. 2023. 5. 14.
청동기 시대의 변화 3. 청동기 시대의 변화 청동기의 사용 청동기는 그 재료인 구리를 구하기 어려웠고, 만들기도 쉽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청동기는 주로 지배층의 위엄을 과시하기 위한 의식용 도구나 무기로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상 왕조 시대에 청동기가 크게 발달하였다. 상의 왕은 자주 신에게 제사를 지냈는데, 제사 때 신에게 바치는 곡식과 짐승 등을 주로 청동기 그릇에 담았다. 상에 이어 주 왕조에서도 청동기가 발달하였다. 상과 주 왕조에서는 청동으로 칼, 창, 도끼 등을 만들어 무기나 의장용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사악한 귀신을 쫓기 위해 괴수의 모양을 넣은 청동기도 많이 만들었다. 도시의 형성 신석기 시대에 농업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농경지 근처에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다. 이 마을의 일부는 큰 도시로 성장하여 문명 .. 2023. 5. 14.
반응형